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 해동 화엄종의 종조인 의상대사가 왕명으로 창건한 화엄종의 수사찰(首寺刹)이다.
대사가 당나라에 유학하고 있을때 당고종위 신라침략 소식을 듣고 이를 왕에게 알리고, 그가 닦은 화엄의 도리로 국론을 통일하여 내외의 시련을 극복하게 하고자 귀국하여 이절을 창건하였으며 우리나라 화엄사상의 발원지가 되었다.
부석사라 이름하게 됨은 불전 서쪽에 큰 바위가 있는데 이바위는 아래의 바위와 서로 붙지않고 떠있어 뜬돌이라고 한데서 연유하였다고 한다.
고려시대에는 선달사 혹은 흥교사라 불리었다. 1916년 해체보수시 발견된 묵서명에 의하면 고려초기에 무량수전을 중창하였으나 공민왕7년(1358) 적의 병화를 당하여 우왕2년(1376) 무량수전이 재건되고 우왕3년(1377) 조사당이 재건되었다.
무량수전(국보 제18호)은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건물 가운데 두 번째로 오래된 것이다. 부석사의 주불전으로 아미타여래를 모신 전각이다. 아미타여래는 끝없는 지혜와 무한한 생명을 지녔으므로 무량수불로도 불리는데 '무량수'라는 말은 이를 의미하는 것이다. 부석사의 주불전으로 아미타여래를 모신 전각이다. 아미타여래는 끝없는 지혜와 무한한 생명을 지녔으므로 무량수불로도 불리는데 '무량수'라는 말은 이를 의미하는 것이다.
부석
부석사 석등(국보 제17호)은 無量壽殿 중심 앞 中庭 중앙에 세워져 있다. 따라서 무량수전을 진입하기 위해 安養樓 계단을 오르면 제일 먼저 바라다 보이는 위치에 있다. 또한 석등 앞에는 석등의 부속물인 방형의 拜禮石이 현존한다. 이들 석등은 배례석이 있는 부석사는 義湘(625~702)이 文武王의 뜻을 받들어창건한 이래, 그 제자들에 의해 法燈이 계속되었다. 특히 신라 하대에는 神琳 이후 번성하여 건물의 중창은 물론 많은 인재가 배출되므로써 華嚴宗을 크게 일으키면서 석등과 같은 조형물이 조성된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곧 이 무렵은 신라 景文王代(861~874)로서, 부석사가 위치한 太白山은 新羅五岳 중 北岳으로 숭앙되며 비중있는 화엄종 본찰의 중심무대가 됨에 따라, 사찰 내에는 석등 이외에 大石檀, 石龍, 長臺石, 石搭 등이 이 무렵이 9세기에 조성되었던 것이다.
'여행스케치 > 사찰순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영주 부석사 자인당(070513) (0) | 2007.05.14 |
---|---|
경북 영주 부석사 조사당(070513) (0) | 2007.05.14 |
청암사 백련암 (0) | 2007.05.06 |
청암사 보광전 (0) | 2007.05.06 |
청암사 화원1 (0) | 2007.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