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431호 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 경상북도 경산시 팔공산 남쪽 관봉(冠峰)의 정상에 병풍처럼 둘러 쳐진 암벽을 배경으로 만들어진 좌불상이다. 관봉을 ‘갓바위’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그것은 이 불상의 머리에 마치 갓을 쓴 듯한 넓적한 돌이 올려져 있어서 유래한 것이다. 민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뚜렷하다. 얼굴.. 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1.05.29
보물 제164호 청평사회전문(淸平寺廻轉門) 청평사는 고려 광종 24년(973) 승현선사가 세워 백암선원이라 불렀다고 한다. 그 뒤 몇 번에 걸쳐 고치고 절을 넓혔는데 청평사로 이름을 바꾼 것은 조선 명종 5년(1550) 보우선사가 이곳에 와 다시 고쳐 세운 뒤부터이다. 청평사의 회전문은 절에 들어설 때 만나게 되는 두번째 문인 사천왕문을 대신하는 .. 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0.04.25
보물 제337호 장곡사금동약사여래좌상 충청남도 청양의 장곡사에 있는 상·하 2채의 대웅전 가운데 하대웅전에 모신 불상이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정수리 부분에 있는 상투 모양의 넙적한 머리(육계)는 구분이 잘 되지 않는다. 갸름한 타원형의 얼굴은 단정하고 우아하지만 통일신라시대 불상에서 보이던 .. 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0.03.01
보물 제181호 장곡사하대웅전 장곡사는 칠갑산에 있는 절로 신라 후기 보조국사가 세웠다고 한다. 자세한 연혁은 전하지 않으나 조선 정조 1년(1777) 고쳐 짓고 고종 3년(1866)과 1906년, 1960년에 크게 고쳐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절은 지형을 따라 위아래에 2개의 대웅전이 있는 특이한 배치를 하고 있다. 상·하 대웅전은 서로 엇.. 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0.03.01
보물 제174호 장곡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부석조대좌 충청남도 청양 칠갑산에 자리잡은 장곡사의 상대웅전 안에 모셔져 있는 불상으로 진리의 세계를 두루 통솔한다는 의미를 지닌 비로자나불을 형상화한 것이다. 삼각형에 가까운 작은 얼굴에는 긴 눈썹과 가는 눈, 작은 코와 입 등이 표현되어 불상을 무척 빈약하게 만들고 있다. 어깨는 넓지만 당당하.. 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0.03.01
보물 제162호 장곡사상대웅전 장곡사는 칠갑산에 있는 사찰로 신라 후기 보조국사가 세웠다고 한다. 자세한 연혁은 전하지 않으나 조선 정조 1년(1777) 고쳐 짓고 고종 3년(1866)과 1906년, 1960년에 크게 고쳐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절은 지형을 따라 위아래에 2개의 대웅전이 있는 특이한 배치를 하고 있다. 상·하 대웅전은 서로 .. 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0.03.01
보물제 11-3호 홍천수타사동종 조선 숙종 때 경기도와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인 사인비구에 의해서 만들어진 조선시대 종이다. 사인비구는 18세기 뛰어난 승려이자 장인으로 전통적인 신라 종의 제조기법에 독창성을 합친 종을 만들었다. 현재 그의 작품 8구가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이며 전해지고 있다. 이 종은 사인비구가 만.. 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0.02.28
보물 제1183호 미황사응진당(美黃寺應眞堂) 달마산 기슭에 자리잡은 미황사는 우리 나라 육지 가장 남쪽에 있는 절이다. 미황사 사적비에 따르면 통일신라 경덕왕 8년(749)에 처음 지었다고 한다. 그 뒤 임진왜란으로 모두 불에 타 버려, 지금있는 응진당은 영조 27년(1751)에 지은 것이다. 응진은 부처의 또 다른 이름이며, 아라한·나한은 수행을 .. 문화재/내가 본 보물 2009.12.11
보물 제947호 미황사대웅전(美黃寺大雄殿) 달마산 기슭에 자리잡은 미황사는 우리 나라 육지 가장 남쪽에 있는 절이다. 미황사 사적비에 따르면 통일신라 경덕왕 8년(749)에 처음 지었다고 한다. 그 뒤 임진왜란으로 불탄 것을 조선 선조 31년(1598)에 다시 지었고, 영조 30년(1754)에 수리하였다고 한다. 석가모니 불상을 모시고 있는 대웅전은 앞면 3.. 문화재/내가 본 보물 2009.12.11
보물 제320호 대흥사응진전전삼층석탑(大興寺應眞殿前三層石塔) 이 석탑은 신라석탑(新羅石塔)의 전형양식(典型樣式)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이중기단(二重基壇)에 우주(隅柱)와 탱주(撑柱)가 각면에 표현되어 있다. 탑신부(塔身部)는 탑신석(塔身石)과 옥개석(屋蓋石)으로 구성되고 각각 1석으로 되어 있으며 각 탑신석에는 4개의 귀기둥(隅柱)이 모각(模刻)되어 있다.. 문화재/내가 본 보물 2009.11.30